정의

변비는 배변 시 무리한 힘이 필요하거나 대변이 과도하게 딱딱하게 굳은 경우, 불완전 배변감(후중감) 또는 항문직장의 폐쇄감이 있는 경우, 원활한 배변을 위하여 부가적인 처치가 필요한 경우, 일주일에 배변 횟수가 3번 미만인 경우 등을 말하며, 기질적(이차성) 원인이 없는 원인 미상(특발성)의 혹은 기능성 변비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원인

변비의 원인은 원발성 원인과 이차성 원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차성 원인으로는 기질적 국소성 질환, 전신적 질환, 약제사용 등이 있으며, 이차성 원인에 기인하지 않는 대장의 운동기능 이상이나 항문직장의 기능 이상을 원발성 원인으로 분류한다. 변비의 90% 이상이 뚜렷한 이차성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원발성 원인에 의한 변비이며, 이를 기능성 또는 특발성 변비라고 부른다. 변비의 원인으로 잘 알려져 있는 것들은 다음과 같다.

1) 국소적 기질적 원인: 대장 종양, 대장협착, 허혈성 대장염, 게실염, 염증성 장질환, 결핵성 대장염, 장축염전증, 탈장, 직장탈, 직장자궁 탈장, 이소성 자궁내막증, 매독, 치질, 치열, 항문협착

2) 전신적 기질적 원인: 교원성 혈관질환(전신성 경피증, 복합성 결합조직 질환, 피부근염), 감염병(샤가스병(Chagas’ disease)), 대사질환(당뇨병요독증, 저칼륨증, 고칼슘증), 내분비 질환(뇌하수체기능저하증, 갑상선기능저하증, 부갑상선기능항진증, 글루카곤 생산 종양), 신경계 질환(말단성 신경병증, 자율신경병증, 당뇨병, 중추신경병증, 뇌종양, 파킨슨병다발성 경화증, 근위축증), 임신 및 월경 주기의 황체기, 운동 부족, 장거리 여행

3) 원발성 원인: 대장 통과시간 지연(지연성 통과에 의한 변비, 무력성 대장), 골반저 기능이상, 과민성장증후군

증상

변비가 있는 경우 배변 횟수의 감소 뿐 아니라 배변 시 무리한 힘이 필요한 증상과 불완전한 배변감, 항문직장의 폐쇄감, 단단한 변 등 다양한 증상을 동반하게 된다.

진단/검사

변비를 진단하기 위하여 자세한 병력 청취와 함께 신체검진을 시행한 후, 기질적인 질환 여부를 확인하고 병태 생리를 평가할 수 있는 기능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변비의 기질적인 원인을 배제하기 위해 혈액 검사, 내시경 검사와 영상학적 검사 등의 다양한 검사의 도움을 얻는 것이 필요하다.

(1) 병력 청취
변비 증상 뿐 아니라 체중감소, 혈변, 복통과 같은 동반 증상에 대해 확인하여야 한다. 변비가 언제 시작된 것인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여자 환자에서는 골반저 근육의 약화와 동반될 수 있는 빈뇨, 긴장성 요실금 같은 비뇨기 증상에 대해서도 확인이 필요하다. 식사의 양과 섬유소 함량, 최근의 생활 변화, 심리적인 문제도 자세히 조사하여야 한다.

(2) 신체검진
신경학적 검사를 포함한 전반적인 신체검진과 복부에 대한 진찰이 필요하다. 수지직장 검사(digital rectal exam)를 통해 잠혈, 분변 매복, 항문 협착, 직장 탈출, 직장 종괴 등을 확인 하고 직장 괄약근의 긴장 정도를 확인한다.

(3) 혈액 검사
갑상선 기능 저하증 등의 감별 진단을 위하여 혈액 검사를 시행한다. 또한 동반된 빈혈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한 말초혈액 검사와, 생화학 검사 등을 고려한다.

(4) 내시경 검사
대장 내시경 검사는 변비의 기질적인 원인을 배제하기 위한 선별검사로서는 제한적이나, 대장의 악성 종양, 고립성 직장 궤양(solitary rectal ulcer syndrome), 염증성 장질환, 치열, 장폐색, 대장 흑색증(melanosis coli)를 진단하는 데에는 유용할 수 있다. 또한 혈변, 빈혈, 대변잠혈반응 양성, 체중감소 등의 경고 증상을 동반하거나, 50세 이상인 환자에서 최근 발생한 변비의 경우에는 대장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여 악성 종양을 감별해야 한다.

(5) 영상의학적 검사
단순 복부 촬영 검사는 저렴하고 손쉽게 시행할 수 있는 검사법으로, 대변 정체(stool retention) 및 거대 결장(megacolon)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이중 조영 바륨검사 등의 영상검사를 고려할 수 있다.

(6) 대장항문 기능 검사
대장항문 기능 검사에는 대장통과시간 측정, 직장항문내압 검사, 풍선배출 검사, 배변 조영술 등이 있다. 대장통과시간 측정법은 전체 대장통과시간 및 구획별 통과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이며, 직장항문내압 검사는 직장과 항문의 상태를 평가하여 배변에 있어 이상 기능을 확인하는 검사법이다. 직장항문내압 검사의 경우 특히 배출장애 변비 환자를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풍선배출 검사는 쉽게 시행할 수 있는 검사법으로, 풍선배출 검사가 정상인 경우 기능성 배출 장애를 배제할 수 있다. 배변 조영술은 실제 배변 시에 항문 및 직장 주변의 구조들이 어떤 식으로 변화하는 지 확인이 가능한 검사법으로, 변비의 병태 생리를 정확히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검사 방법이다.

치료

변비를 앓고 있었던 기간, 증상의 정도, 유발 인자, 연령, 환자의 기대치 등에 따라 개인별로 치료가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고 섬유소 식사요법, 행동요법, 약물요법 등을 병용한다. 대장 통과시간이 지연되는 변비를 치료할 때에는 기본적인 식이요법에 병행하여 처음에는 대변의 부피를 늘리는 하제가 추천되고, 두 번째로는 고삼투성 하제, 염류성 하제, 대변 연하제 등의 약제가 추천된다. 실패하면 자극성 하제,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용액, 장운동 촉진제 등이 사용되는데, 장기간의 사용은 금해야 한다. 또한 기능성 출구폐쇄(골반저 기능이상 증후군)성 변비에는 바이오피드백(생체되먹이기 요법)이 가장 적절한 치료법이다.

식이요법/생활가이드

하제를 임의로 사용해 온 경우 반드시 사용 횟수를 천천히 줄인 후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분과 식이 섬유의 섭취를 서서히 증가시키는 것이 좋다.

관련질병

대장 종양, 대장협착, 허혈성 대장염, 게실염, 염증성 장질환, 전신성 경피증, 복합성 결합조직 질환, 피부근염, 샤가스병, 당뇨병요독증, 대장 통과시간 지연, 골반저 기능이상, 과민성장증후군